안티오코스 1세 소테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티오코스 1세 소테르는 셀레우코스 제국의 왕으로, 기원전 281년부터 기원전 261년까지 통치했다. 그는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아파마의 아들이며, 계모인 시리아의 스트라토니케와 결혼했다. 유프라테스강 동쪽 지역의 공동 통치자로 임명받았으며, 아버지의 암살 이후 제국을 물려받아 시리아 반란을 진압했다. 갈리아인을 격파하고 '소테르'(구세주) 칭호를 얻었으며, 프톨레마이오스 2세와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영토를 잃었다. 바빌론의 에사길라와 에지다 신전을 재건하고, 아이 카눔을 건설했으며, 마우리아 제국의 빈두사라와 우호적인 외교 관계를 유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셀레우코스 국왕 -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장군이자 셀레우코스 제국의 창건자로, 디아도코이 전쟁에서 승리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도시 건설에 힘썼으며, 코루페디온 전투에서 승리한 후 암살당했다. - 셀레우코스 국왕 - 안티오코스 2세 테오스
안티오코스 2세 테오스는 셀레우코스 제국의 왕으로, 제2차 시리아 전쟁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고 '테오스' 칭호를 얻었으나, 결혼과 왕위 계승 분쟁으로 제3차 시리아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 기원전 3세기 통치자 - 나비스
나비스는 쇠퇴하는 스파르타의 국력 회복을 위해 급진적인 정책을 펼쳤으나 내부 반발과 대외 갈등을 야기하여 암살당하고 스파르타는 독립을 잃었다. - 기원전 3세기 통치자 - 퀸투스 호르텐시우스
퀸투스 호르텐시우스는 로마 공화정의 정치가로서, 평민과 귀족 간의 갈등을 종식시킨 호르텐시우스 법을 제정하고, 눈디나에를 디에스 파스티로 지정하는 법률에도 관여했으며, 독재관으로 재임 중 사망했다.
안티오코스 1세 소테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칭호 | 바실레우스 우주의 왕 |
![]() | |
왕조 | 셀레우코스 왕조 |
종교 | 그리스 다신교 및 메소포타미아 종교 |
통치 | |
계승 | 셀레우코스 제국의 바실레우스 |
재위 | 기원전 281년 9월 – 기원전 261년 6월 2일 |
이전 통치자 |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 |
다음 통치자 | 안티오코스 2세 테오스 |
개인 정보 | |
출생 | 기원전 324년경 |
출생지 | 마케도니아, 바빌론 |
사망 | 기원전 261년 6월 2일 (62-63세) |
아버지 |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 |
어머니 | 아파마 |
배우자 | 스트라토니케 |
자녀 | 셀레우코스 라오디케 아파마 2세 스트라토니케 2세 안티오코스 2세 테오스 |
2. 생애
안티오코스 1세는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스피타메네스의 딸 아파마 사이에서 태어났다. 기원전 294년, 아버지 셀레우코스 1세가 사망하기 전, 안티오코스는 계모인 시리아의 스트라토니케와 결혼했다. 스트라토니케는 데메트리오스 1세 폴리오르케테스의 딸이었다.
기원전 291년경부터 아버지 셀레우코스 1세의 공동 통치자로 유프라테스강 동쪽 지역을 다스렸다. 기원전 281년에 셀레우코스 1세가 암살되자 안티오코스 1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그는 즉위 직후 시리아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해야 했다. 또한 아버지의 살인자 프톨레마이오스 케라우노스와 평화 조약을 맺고 마케도니아와 트라키아를 포기해야 했다. 아나톨리아에서는 비티니아나 카파도키아를 지배하는 페르시아 왕조를 완전히 굴복시키지 못했다.
기원전 278년, 갈라티아인들이 아나톨리아로 쳐들어왔다. 안티오코스 1세는 전쟁 코끼리를 사용하여 기원전 275년에 이들을 격파했고, 이 승리로 '구세주'라는 뜻의 그리스어 칭호인 '''소테르'''를 얻었다.
기원전 275년 말, 셀레우코스 제국과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사이의 시리아 문제를 둘러싼 갈등은 제1차 시리아 전쟁으로 이어졌다. 이 전쟁으로 다마스쿠스와 소아시아 해안 지역 등의 국경 도시들의 소유권이 바뀌었지만, 두 왕국의 윤곽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안티오코스 1세는 바빌론의 에사길라와 에지다 신전을 재건했다. 기원전 268년에는 보르시파에 에지다 신전의 기초를 놓았다.
기원전 262년경, 안티오코스 1세는 페르가몬의 성장하는 세력을 꺾으려 했으나 사르디스 근처에서 패배하고 얼마 후 사망했다. 기원전 261년에 그의 둘째 아들 안티오코스 2세 테오스가 왕위를 계승했다.
2. 1. 초기 생애와 가족
안티오코스 1세는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와 소그디아나 귀족 스피타메네스의 딸 아파마 사이에서 태어났다. 기원전 324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명령으로 아버지 셀레우코스 1세는 아파마와 결혼했다.[1] 셀레우코스 왕조는 아파마가 다리우스 3세의 딸이라고 주장하며 왕조의 정당성을 확보하려 했다.[1]기원전 294년, 안티오코스는 아버지 셀레우코스 1세가 사망하기 전에 계모인 시리아의 스트라토니케와 결혼했다. 스트라토니케는 데메트리오스 1세 폴리오르케테스의 딸이었다. 고대 자료에 따르면, 그의 나이 많은 아버지는 아들이 연애병으로 죽을 위험에 처해 있다는 것을 알고 이 결혼을 주선했다고 한다.[2] 스트라토니케와의 사이에서 그는 다음과 같은 다섯 자녀를 두었다.[2]
이름 | 설명 |
---|---|
셀레우코스 | 나중에 반란으로 처형됨[2] |
라오디케 | [2] |
아파마 2세 | 키레네 왕 메가스와 결혼하여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3세의 왕비 베레니케 2세의 어머니가 됨.[5] |
스트라토니케 2세 | 데메트리오스 2세와 결혼[5] |
안티오코스 2세 테오스 | 안티오코스 1세의 뒤를 이어 왕이 됨[2] |
2. 2. 즉위와 통치
기원전 291년경부터 안티오코스 1세는 아버지 셀레우코스 1세로부터 유프라테스강 동쪽 지역의 공동 통치자로 임명받았다.[2] 기원전 281년 셀레우코스 1세가 암살당하면서 안티오코스 1세가 제국을 물려받았다.[2][6] 즉위 직후 시리아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해야 했다.[6] 아버지의 암살자 프톨레마이오스 케라우노스와 평화 조약을 맺고 마케도니아와 트라키아 지역을 포기해야 했다.[6] 아나톨리아에서는 비티니아, 카파도키아 등의 페르시아계 왕조들을 완전히 굴복시키지 못했다.[6]기원전 278년 갈라티아인들이 아나톨리아로 쳐들어왔을 때, 안티오코스 1세는 인도의 전쟁 코끼리를 사용하여 승리하였다 (기원전 275년).[7] 이 승리로 그는 '구세주'를 뜻하는 그리스어 칭호인 '''소테르'''를 얻게 되었다.[7]
기원전 275년 말, 셀레우코스 제국과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사이의 시리아 문제를 둘러싼 갈등이 제1차 시리아 전쟁으로 이어졌다.[8] 이 전쟁으로 다마스쿠스와 소아시아 해안 지역 등 국경 도시들의 소유권이 바뀌었지만, 두 왕국의 윤곽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8]
기원전 268년, 안티오코스 1세는 보르시파에 에지다 신전의 기초를 놓았다.[10] 그의 장남 셀레우코스는 기원전 275년경부터 268/267년까지 동쪽 지역을 다스리는 부왕이었으나, 안티오코스 1세는 반란 혐의로 아들을 처형했다.[10] 기원전 262년경, 안티오코스 1세는 페르가몬의 성장하는 세력을 꺾으려 했으나 사르디스 근처에서 패배하고 얼마 후 사망했다.[10] 기원전 261년에 그의 둘째 아들 안티오코스 2세 테오스가 왕위를 계승했다.[10]
2. 3. 갈라티아와의 전쟁
기원전 278년 갈라티아인들이 아나톨리아로 쳐들어왔다. 안티오코스 1세는 인도의 전쟁 코끼리를 사용하여 이 갈리아인들을 상대로 기원전 275년에 승리하였다. 이 사건으로 인해 그는 소아시아의 이오니아인 여러 도시로부터 '구세주'를 뜻하는 그리스어인 '''소테르'''라는 칭호를 받았다.[3]2. 4. 시리아 전쟁과 페르가몬과의 전쟁
기원전 278년 갈라티아인들이 아나톨리아로 쳐들어왔고, 안티오코스가 이 갈리아인들을 상대로 인도의 전쟁 코끼리를 사용하여 승리한 사건(기원전 275년)이 그의 칭호 '소테르'(구세주를 뜻하는 그리스어)의 기원이 되었다.[3]기원전 275년 말, 셀레우코스 왕조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사이의 시리아 문제가 적대 행위로 이어졌다(제1차 시리아 전쟁).[3] 이 전쟁으로 두 왕국의 영토가 실질적으로 바뀌지는 않았지만, 다마스쿠스와 소아시아의 해안 지역과 같은 국경 도시들의 소유권이 바뀌었다.[3]
프톨레마이오스 2세와 동맹한 페르가몬 왕국과의 싸움 (기원전 266년 - 기원전 261년)에서 패배하여 많은 영토를 잃었다.[6]
2. 5. 바빌로니아와 아이 카눔 건설
안티오코스 1세는 바빌론의 에사길라와 에지다 신전을 재건했다. 안티오코스 원통은 안티오코스 1세의 통치 기간 중 바빌론의 왕으로서 에사길라와 에지다 신전을 재건한 내용을 담고있다.[20] 기원전 268년에 안티오코스 1세는 보르시파에 에지다 신전의 기초를 놓았다. '에사길라의 파괴 연대기'에 따르면, 안티오코스 1세는 왕세자 시절 폐허가 된 바빌론 신전 에사길라를 재건하려 했으나, 잔해에 걸려 넘어진 후 남은 잔해를 파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21]최근 분석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 북부 타카르 주에 위치한 그리스 도시 아이 카눔은 판지 강과 콕차 강의 합류 지점에 있으며, 인도 아대륙의 입구에 위치해 있고, 기원전 280년경 안티오코스 1세가 건설한 것으로 추정된다.[20][21]
2. 6. 죽음
안티오코스 1세는 페르가몬의 세력이 커지는 것을 막고자 무력을 사용하려 했으나, 기원전 262년경 사르디스 부근에서 패배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병사했다.[9] 기원전 261년, 그의 둘째 아들 안티오코스 2세 테오스가 왕위를 이었다.[9]3. 인도와의 관계
안티오코스 1세는 인도의 마우리아 제국의 통치자 빈두사라와 우호적인 외교 관계를 유지했다. 데이마코스는 빈두사라 궁정에 파견된 안티오코스 1세의 대사였다. 3세기 그리스 작가 아테나이오스는 그의 저서 ''데이프노소피스타이''에서 헤게산데르의 글을 인용하여 다음과 같은 일화를 전한다. 빈두사라는 안티오코스 1세에게 달콤한 포도주, 말린 무화과, 소피스트를 보내달라고 요청했다. 안티오코스 1세는 포도주와 무화과는 보내주겠지만, 그리스 법은 소피스트를 파는 것을 금지한다고 답했다.
안티오코스 1세는 아쇼카의 불교 전도 대상 중 한 명으로 아쇼카의 칙령에 언급된 그리스 왕일 가능성이 높다. 아쇼카는 헬레니즘 왕들의 영토에서 인간과 동물을 위한 본초 의학의 발전을 장려했다고 주장했다.
다만, 아쇼카의 칙령에 언급된 그리스 왕은 안티오코스 1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안티오코스 2세 테오스일 수도 있지만, 안티오코스 1세가 동방과 더 가까웠다는 점이 그를 더 유력한 후보로 만든다.[22]
4. 문화적 유산
안티오코스 1세와 그의 계모 스트라토니케의 사랑 이야기는 신고전주의 미술에서 자주 묘사되었으며, 자크 루이 다비드의 그림에서도 나타난다.
참조
[1]
웹사이트
Antiochus Cylinder - Livius
https://www.livius.o[...]
[2]
서적
Ancient Babylon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3]
웹사이트
Antiochus I Soter
https://www.livius.o[...]
[4]
논문
The Antiochus Cylinder, Babylonian Scholarship and Seleucid Imperial Ideology
https://www.cambridg[...]
2014
[5]
웹사이트
Antiochus I Soter {{!}} Seleucid king
https://www.britanni[...]
2021-07-25
[6]
웹사이트
Antiochus I Soter - Livius
https://www.livius.o[...]
2021-07-25
[7]
서적
The Ancient World: Dictionary of World Biography, Volume 1
Fitzroy Dearborn Publishers, Salem Press
[8]
서적
Alexander the Great and Bactria: the Formation of a Greek Frontier in Central Asia
E. J. Brill
1989
[9]
문서
Arrian, Anabasis 7.4.6
https://archive.org/[...]
[10]
문서
Seleucid Dynasty
[11]
웹사이트
Apama
http://www.iranicaon[...]
[12]
문서
Plutarch, Demetrius, 38
https://penelope.uch[...]
[13]
웹사이트
BCHP 6 (Ruin of Esagila Chronicle)
https://www.livius.o[...]
[14]
서적
Greece and Mesopotamia: Dialogues i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15]
서적
Syrian Identity in the Greco-Roman Worl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16]
웹사이트
Antiochus cylinder
https://www.britishm[...]
[17]
서적
Babylonian Life and History
https://archive.org/[...]
Religious Tract Society
1884
[18]
웹사이트
Hellenization of the Babylonian Culture?
http://www.aakkl.hel[...]
2017-06-06
[19]
웹사이트
Johannes Malalas - translation
http://www.attalus.o[...]
2017-06-06
[20]
논문
Questions on the Date of the Hellenistic Pottery from Central Asia (Ai Khanoum, Marakanda and Koktepe)
[21]
논문
The Spatial Organization of Ai Khanoum, a Greek City in Afghanistan
[22]
간행물
Antiochus, King of the Yavanas
1931
[23]
문서
Translation of Jarl Charpentier 1931:303–321.
[24]
문서
Edicts of Ashok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